오륙도선 실증사업 개요
트램 「오륙도선」
남구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갑니다.
![기차사진](/images/sub05/namgutram01.jpg)
- 도입 추진배경
- 트램 도입으로 도시철도망 확층, 도심교통난 해소 및 관광자원 활용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 사람 중심의 친환경 미래 지향적인 대중교통수단 제공
- 사업개요
- 노 선 : 용소삼거리(2호선 경성대·부경대역)~이기대어귀삼거리
- 규 모 : L =1.9km, 정거장 5개소, 차량기지 1개소
- 사 업 비 : 470억원(국비110억, 시비 360억)※ 총사업비 906억원(증436)
- 사업기간 : 2019 ~ 2025
무가선 저상트램이란?
무가선 트램이란?
무가선 트램(Wireless low-floor Tram)은 기존의 노면전차와 달리 대용량 배터리를 주동력으로 사용하여 전력선없이 운행가능한 100% 저상 노면 경전철
왜 무가선 트램인가?
![]() |
![]() |
기존 유가선 트램 | 국내 무가선 저상트램(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고압의 전력인프라 시설을 제거하여 도시 미관 향상, 건설비용 절감, 안전위험 제거, 공사기간 단축, 유지보수 비용 절감 등 많은 사회적 문제를 제거 할 수 있음
![인프라관련](/images/sub05/namgutram04.jpg)
실증노선 추진현황 및 계획
추진상황
- 2018. 11.
- "무가선 저상트램 실증노선 공모사업" 제안서 제출(부산시)
- 2018. 12.
-
도시철도 오륙도선 트램유치 추진위원회 구성 및 발대식(남구)
- 2019. 1.
- 1차 공모제안서 평가 (부산, 수원, 성남 선정)
- 트램유치 기원 범시민 걷기대회 및 결의대회 (남구)
- 2차 발표평가 및 현장평가 (부산시 최종 선정)
- 2019. 2.
- 미래형 도시철도(오륙도선 실증사업) MOU 체결(부산시-한국철도기술연구원)
- 2019. 5.
- 부산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변경(안) 주민공청회
- 2019. 8.~12.
- 무가선저상트램 오송시험선 주민견학
- 2020. 2.
- 무가선 저상트램 실증노선 기본계획 주민공청회 개최
- 2020. 3.
- 실증노선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승인 고시
- 2020. 7.
- 실증노선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착수보고회
- 2020. 10.
- 오륙도선 실증노선 기본계획 승인(국토교통부)
- 2020.12.
- 부산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변경(2차) 주민공청회
- 2021. 2.
- 실증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안) 자문회의
- 2021. 5.
- 실증노선 교통처리계획(안) 주민설명회)
- 기본 및 실시설계 교통처리계획(안) 주민설명회
- 2021. 6.
- 실증노선 차량 디자인 선호도조사
- 2021. 7.
- 실증노선 차량 디자인 확정
- 2022. 1.
- 부산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변경(2차) 승인·고시(국토교통부)
- 오륙도선 트램 차량기지 건설에 따른 대체주차장 조성공사 착공
- 2022. 7.
-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심의(실증노선 규모 축소)
- 2022. 12.
- 오륙도선 실증노선 국비확보(17억4400만원)
- 2023. 1.
- 오륙도선 트램 차량기지 건설에 따른 대체 주차장 준공식 개최
- 실증노선 사업타당성 재조사 요청(부산시→기획재정부)
- 2023. 2.
- 타당성 재조사 착수(KDI)
- 2023. 3.
- 트램 실증노선 구간 KDI(한국개발연구원) 현장 방문
- 2023. 5.
- 조속한 사업시행 요구를 위해 KDI, 기재부 방문(부산시)
- 2023. 6.
- 연내 타당성재조사 완료를 위한 업무협의(부산시, 철기연, KDI)
- 2023. 12.
- 오륙도선 실증노선 국비 확보(30억)
추진계획
- 2024.
- 실증노선 추진관련 행정절차 이행
- 2025.
- 공사착공
- 2026.
- 실증노선 공사 준공 및 시운전
무가선 저상트램 특성
안전성
① 안전제어 시스템 : 운전자의 실수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제어 시스템 의무 설치
② 전용선로 : 운전자의 조작 실수로 인한 보차도 침범 불가
③ 서행 운행 : 30km/h 운행으로 즉시 정지 가능
④ 무가선 주행(배터리 사용) : 가선으로 인한 전기 사고 방지
② 전용선로 : 운전자의 조작 실수로 인한 보차도 침범 불가
③ 서행 운행 : 30km/h 운행으로 즉시 정지 가능
④ 무가선 주행(배터리 사용) : 가선으로 인한 전기 사고 방지
![기차 사진](/images/sub05/namgutram05.jpg)
접근성
① 정시성 : 정확한 운행 시간에 따른 고객신뢰성 확보
② 탄력운행 : 출퇴근시간 탄력적 운행 가능
③ 승하차시간 단축 : 여러개의 문으로 동시에 승하차 가능하므로 정차시간 단축
④ 타 교통수단과 연계 : 타 교통수단과의 연계를 통한 원활한 환승체계
② 탄력운행 : 출퇴근시간 탄력적 운행 가능
③ 승하차시간 단축 : 여러개의 문으로 동시에 승하차 가능하므로 정차시간 단축
④ 타 교통수단과 연계 : 타 교통수단과의 연계를 통한 원활한 환승체계
![도로사진](/images/sub05/namgutram06.jpg)
친환경성
① 하이브리드(에너지 재생) : 제동시 사용하는 회생에너지 사용으로 전기료 30% 절감 효과
② 오염물질 발생 최소화 : 버스 대비 배출가스 제로 및 미세먼지 발생 최소화
③ 우수한 미관 : 전력선 미설치로 깨끗한 하늘 경관 제공
② 오염물질 발생 최소화 : 버스 대비 배출가스 제로 및 미세먼지 발생 최소화
③ 우수한 미관 : 전력선 미설치로 깨끗한 하늘 경관 제공
![열차사진](/images/sub05/namgutram07.jpg)
교통약자 배려
① 노상정거장(층간이동 없음) : 노상 정류장 설치로 교통약자의 수직이동 불필요
② 승강장과 동일한 높이의 출입문 : 승강장과 차량바닥이 수평을 유지하고 틈이 없어 승하차 용이(노약자, 임산부, 장애인, 어린이, 휠체어, 유모차 등)
② 승강장과 동일한 높이의 출입문 : 승강장과 차량바닥이 수평을 유지하고 틈이 없어 승하차 용이(노약자, 임산부, 장애인, 어린이, 휠체어, 유모차 등)
![교통약자배려사진](/images/sub05/namgutram08.jpg)
승차감
① 우선신호 적용 : 우선신호 적용으로 정차 최소화
② 저소음/저진동 : 적은 소음과 진동으로 인해 평안한 탑승(버스 및 지하철 대비)
③ 서행운행 : 저속운행으로 안정감 상승
② 저소음/저진동 : 적은 소음과 진동으로 인해 평안한 탑승(버스 및 지하철 대비)
③ 서행운행 : 저속운행으로 안정감 상승
![승차감사진](/images/sub05/namgutram09.jpg)
교통체증 완화
① 높은 수용력 : 1편성(5모듈)당 250인 수용 가능(승용차 250대, 버스 3~5대와 동일)
② 자동차 대체 수단 : 사용자 이용편의성 높이기 위한 대중교통망 개편으로 자동차 이용률 감소
③ 정시성 : 교차로에서 우선신호 적용으로 혼잡 최소화
④ 병목 최소화 : 주ㆍ정차 금지구역 지정으로 병목현상 최소화
② 자동차 대체 수단 : 사용자 이용편의성 높이기 위한 대중교통망 개편으로 자동차 이용률 감소
③ 정시성 : 교차로에서 우선신호 적용으로 혼잡 최소화
④ 병목 최소화 : 주ㆍ정차 금지구역 지정으로 병목현상 최소화
![비교표](/images/sub05/namgutram10.jpg)
트램 기대효과
- 도시철도망 확충으로 도심 교통난 해소 및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대중교통수단
- 사람 중심의 안전하고 무공해 친환경 대중교통 수단
- 기존 도심의 슬럼화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도심재생 교통수단
- 주변 관광지와 환승체계 구축으로 관광사업 및 지역경제 활성화 교통수단
![효과사진](/images/sub05/namgutram11.jpg)
오륙도선 실증사업 노선도
![흐름사진](/images/sub05/namgutram12.jpg)
![용소삼거리 > 부경대 > TBN교통방송국 > 남부운전면허시험장 > 이기대어귀삼거리](/images/sub05/namgutram12_1.jpg)
오륙도선 전체 노선도
![노선도사진](/images/sub05/namgutram13.jpg)
오륙도선 차량디자인
![친환경 미래도시로서의 부산의 대표성을 미래지향적 조형과 라이팅으로 적극적으로 표현](/images/sub05/otu.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