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구청
문화관광
남구의회
보건소
도서관
남구미디어
language ▼
ENGLISH
문화관광로고
남구여행
남구여행
오륙도
자연과 명소
소금공원
UN평화문화특구
갈맷길/코리아둘레길
박물관/기념관
용호별빛공원
우암동 도시숲
곱창골목
그 외 볼거리
문화예술
문화예술
남구립 소년소녀합창단
남구립 오륙도여성합창단
남구립 욜드합창단
대동골문화센터
분포문화체육센터
부산남구문화원
부산문화회관
부산예술회관
문화예술 공연장안내
우암동 소막마을주택
대동골문화센터 들락날락
바다Dream 들락날락
문현아트센터
축제 · 공연 · 전시
축제 · 공연 · 전시
행사안내
달맞이축제
유엔남구 청소년축제
반딧불이 축제
UN평화축제
평생학습박람회
평화공원 국화전시회
유엔남구 물놀이 축제
남구이야기
남구이야기
마을이름
지명
민속/전통문화
생활/역사
열린마당
여행도우미
여행도우미
유엔미오륙도남구투어
코리아둘레길 도보투어
미쉐린가이드
관광안내전화번호
관광홍보영상
관광안내도
숙박정보
먹거리정보
교통정보
남구관광테마지도
남구문화관광해설사
전자지도 바로가기
관광안내지도 신청
비짓부산
남구여행
오륙도
오륙도 소개
해조류
해안식물
해안동물
조류
바다 속 생물
오륙도스카이워크
해파랑길관광안내소
오륙도홍보관
수선화단지
자연과 명소
오륙도
이기대
신선대
대연수목전시원
오륙도 스카이워크
해파랑길관광안내소
오륙도홍보관
동명불원
소금공원
UN평화문화특구
UN기념공원
UN조각공원
평화공원
유엔평화기념관
대학로문화거리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갈맷길/코리아둘레길
갈맷길
해파랑길(이기대해안산책로)
남파랑길
박물관/기념관
부산박물관
부경대박물관
경성대박물관
경성대조류관
용호별빛공원
용호별빛공원
전시체험관 단체관람 예약
우암동 도시숲
곱창골목
그 외 볼거리
용호만유람선터미널
부산국제금융센터
황령산
황령산 전망대
부산항대교
문화예술
남구립 소년소녀합창단
남구립 오륙도여성합창단
남구립 욜드합창단
대동골문화센터
분포문화체육센터
부산남구문화원
부산문화회관
부산예술회관
문화예술 공연장안내
우암동 소막마을주택
대동골문화센터 들락날락
바다Dream 들락날락
문현아트센터
축제 · 공연 · 전시
행사안내
달맞이축제
정월대보름 소원빌기
유엔남구 청소년축제
반딧불이 축제
UN평화축제
축제포스터
축제소개
프로그램 일정표
임시주차장 안내
평생학습박람회
평화공원 국화전시회
유엔남구 물놀이 축제
남구이야기
마을이름
지명
민속/전통문화
생활/역사
열린마당
알림마당(공지)
참여마당
아이디어제안
여행도우미
유엔미오륙도남구투어
코리아둘레길 도보투어
미쉐린가이드
관광안내전화번호
관광홍보영상
유엔美 오륙도 남구투어
관광안내도
숙박정보
먹거리정보
교통정보
남구관광테마지도
남구문화관광해설사
남구문화관광해설사안내
전자지도 바로가기
관광안내지도 신청
비짓부산
남구이야기
마을이름
지명
민속/전통문화
생활/역사
열린마당
지명
남구이야기 > 지명
부처골
| 대연동
옛날부터 현 부산문화회관 자리를 부처골이라 불렀다. 이 곳을 부처골로 부르게된 것은 임진왜란 전까지 큰 절이 있었는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고 한다. 불곡사 주지로 있던 황법화(1935년 생) 씨와 석포의 정진석 씨는 110년 전에 이 곳 땅 속에서 돌부처가 나와 비를...
반개등
반개등
| 대연동
반개등은 산도 아니고 토지도 아닌 논, 밭 자리를 하고 남은 지역으로 옛 용연심상소학교(구.대연초등학교, 현.동해탕 옆쪽일대)가 있었던 지역을 말한다. 그 당시 이 일대에는 묘와 소나무가 있었으며 황령산 줄기가 LG가스 주유소를 따라 반개등까지 능선을 이루고 있었다. ...
천제등
| 대연동
천제등1)은 현재 대연중학교 뒷산의 우룡정2)이 있는 곳이다. 이 곳은 옛날 기우제를 지내던 곳으로 1929년 마지막으로 기우제를 지냈으나 현재는 이름만 전해질 뿐 행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일제시대에는 일본군의 고사포부대가 있었다고 한다. 박본홍 씨에 의하면 그곳...
봉대지기산
| 대연동
현재는 진구에 속해 있는 황령산 봉수대는 원래 대연3동 용소 사람들이 관리하였다고 한다. 옛날 이곳에 봉대지기 집이 있어서 황령산을 봉대지기산이라고 불렀다.
갯번덕과 용소해수욕장
| 대연동
지금의 부경대학교 대연 교정 정문(옛 수산대학)이 자리잡고 있는 이 일대를 옛날에는 ‘갯번덕’이라고 불렀다. 갯번덕이란 명칭이 어디에서 왔는지 확실한 근거를 제시하기는 어렵지만 ‘개’에 ‘언덕’이 붙어서 개언덕이 되었고 여기에 사이시옷이 첨가되어 ‘갯언덕’이 되었고 갯...
마성(목마성)
마성(목마성)
| 대연동
지금의 비룡산 일대, 당곡, 석포, 우암 앞바다까지 걸쳐 언제 축성되었는지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없는 성이 있었는데, 옛날에 이 성터안에서 군마를 방사하여 길렀다 하여 ‘마성’이라 불러왔다.1469년에 편찬된 『경상도속찬지리지』에는 “동래현 남쪽의 석포목장에 말이 23...
1
2
3
4
만족도조사 ㅣ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편의성에 만족하셨습니까?
5점(매우만족)
4점(만족)
3점(보통)
2점(불만)
1점(매우불만)
등록하기
담당부서 :
문화예술과 문화예술팀
담당자 :
지명 담당자
전화번호 :
051-607-4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