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구청
문화관광
남구의회
보건소
도서관
남구미디어
language ▼
ENGLISH
문화관광로고
남구여행
남구여행
오륙도
자연과 명소
소금공원
UN평화문화특구
갈맷길/코리아둘레길
박물관/기념관
용호별빛공원
우암동 도시숲
곱창골목
그 외 볼거리
문화예술
문화예술
남구립 소년소녀합창단
남구립 오륙도여성합창단
남구립 욜드합창단
대동골문화센터
분포문화체육센터
부산남구문화원
부산문화회관
부산예술회관
문화예술 공연장안내
우암동 소막마을주택
대동골문화센터 들락날락
바다Dream 들락날락
문현아트센터
축제 · 공연 · 전시
축제 · 공연 · 전시
행사안내
달맞이축제
유엔남구 청소년축제
반딧불이 축제
UN평화축제
평생학습박람회
평화공원 국화전시회
유엔남구 물놀이 축제
부산 남구 달빛 야외도서관 축제
남구이야기
남구이야기
마을이름
지명
민속/전통문화
생활/역사
열린마당
여행도우미
여행도우미
유엔미오륙도남구투어
코리아둘레길 도보투어
미쉐린가이드
관광안내전화번호
관광홍보영상
관광안내도
숙박정보
먹거리정보
교통정보
남구관광테마지도
남구문화관광해설사
전자지도 바로가기
관광안내지도 신청
비짓부산
남구여행
오륙도
오륙도 소개
해조류
해안식물
해안동물
조류
바다 속 생물
오륙도스카이워크
해파랑길관광안내소
오륙도홍보관
수선화단지
자연과 명소
오륙도
이기대
신선대
대연수목전시원
오륙도 스카이워크
해파랑길관광안내소
오륙도홍보관
동명불원
소금공원
UN평화문화특구
UN기념공원
UN조각공원
평화공원
유엔평화기념관
대학로문화거리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갈맷길/코리아둘레길
갈맷길
해파랑길(이기대해안산책로)
남파랑길
박물관/기념관
부산박물관
부경대박물관
경성대박물관
경성대조류관
용호별빛공원
용호별빛공원
전시체험관 단체관람 예약
우암동 도시숲
곱창골목
그 외 볼거리
용호만유람선터미널
부산국제금융센터
황령산
황령산 전망대
부산항대교
문화예술
남구립 소년소녀합창단
남구립 오륙도여성합창단
남구립 욜드합창단
대동골문화센터
분포문화체육센터
부산남구문화원
부산문화회관
부산예술회관
문화예술 공연장안내
우암동 소막마을주택
대동골문화센터 들락날락
바다Dream 들락날락
문현아트센터
축제 · 공연 · 전시
행사안내
달맞이축제
정월대보름 소원빌기
유엔남구 청소년축제
반딧불이 축제
축제포스터
축제소개
프로그램 일정표
임시주차장 안내
UN평화축제
축제포스터
축제소개
프로그램 일정표
임시주차장 안내
평생학습박람회
평화공원 국화전시회
유엔남구 물놀이 축제
부산 남구 달빛 야외도서관 축제
축제포스터
축제소개
프로그램 일정표
남구이야기
마을이름
지명
민속/전통문화
생활/역사
열린마당
알림마당(공지)
참여마당
아이디어제안
여행도우미
유엔미오륙도남구투어
코리아둘레길 도보투어
미쉐린가이드
관광안내전화번호
관광홍보영상
유엔美 오륙도 남구투어
관광안내도
숙박정보
먹거리정보
교통정보
남구관광테마지도
남구문화관광해설사
남구문화관광해설사안내
전자지도 바로가기
관광안내지도 신청
비짓부산
남구이야기
마을이름
지명
민속/전통문화
생활/역사
열린마당
마을이름
남구이야기 > 마을이름
지겟골마을
| 문현동
지겟골 마을 문현동에서 대연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아래의 골짜기를 지겟골이라 불렀다.지겟골에 대한 유래는 두 가지 설이 전해지고 있다. 먼저 지겟골이란 이곳이 골짜기 위쪽 산이 양쪽으로 겹쳐 있어 그 모습이 마치 집 밖에서 지게문을 열고 방안으로 들어가는 것과 같다는 데서...
고동골
고동골
| 문현동
고동골 문현1동 안동네에는 꼬불꼬불한 골짜기가 있다. 이 고개는 마치 고동의 속처럼 꼬불꼬불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연동마을
연동마을
| 문현동
연동마을 연동마을은 문현 4동에 있던 마을로, 현 문현 4동 주민센터 부근 일대에 있었다. 동천의 동쪽 문현 로터리 부근을 조선시대에는 연동리라 불렀다. 다른 이름으로 연동개, 연동계, 연통계 마을이라고도 했다. 이 마을에 있는 작은 연못에는 연꽃이 많이 피었는데 연꽃...
웃농막마을
웃농막마을
| 문현동
웃농막 마을 웃농막 마을은 문현 2동에 있는 마을이다. 이 곳은 1945년 8월15일 해방이 될 때까지도 주택이 거의 없는 농지였는데 1950년 6ㆍ25동란 이후 피난민이 정착하기 시작하면서 차츰 인구가 증가하여 주택가로 변하였다.1) 이곳에는 오랜 옛날부터 당산 제당...
묘지마을
| 문현동
묘지마을농막이 있었던 마을 뒷산에는 아직까지 공동묘지가 남아 있다. 이 공동묘지가 있는 곳까지 주택이 들어서기 시작하여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집을 지을 때 어떤 집은 무덤을 절개하여 반을 남겨둔 채 집을 짓기도 하였고, 담 안에 무덤을 남겨둔 채 집을 짓고 사는 경우...
농막마을
| 문현동
농막마을 문현 1동에 있던 마을로 지금의 문현 안동네, 문현초등학교 뒤편 골짜기에 있던 마을이다. 이 주변에는 옛날의 막노동꾼이나 가난한 농부들이 움막을 짓고 어렵게 살았는데, 농막이 많이 있는 곳이라 하여 이곳을 ‘농막’이라 불렀다고 한다.일제강점 말기에는 약 30~...
적기
적기
| 감만동
적기(赤崎) ‘적기’라는 지명은 일제 시대에 붙여진 감만동의 다른 이름이다. 조선시대의 『동래부지』, 『동래읍지』에는 적기라는 지명이 보이지 않는다. 일제시대에 감만동과 우암동 일대를 적기 혹은 적기반도라 불렀는데, 1980년대 초까지도 이 이름이 사용되었다.1982년...
솔개해수욕장
| 감만동
솔개해수욕장 화약고 앞 바닷가에는 용당과 감만동의 경계를 이루는 큰골까지 소나무가 많아서 솔포(송포) 또는 솔개해수욕장이라 했는데 현재는 호남정유가 들어 서 있다. 옛날 솔개 해수욕장 부근에 7세대가 살았으며 바다에는 백합조개가 많이 있었다고 한다. 지금은 그 옛날의 ...
아래깨물
아래깨물
| 감만동
아래깨물 아래깨물은 현재 연합철강과 해군부대 입구를 말한다. 포리포 옆 동북 방향에 바다와 도랑이 만나는 곳이 있었는데 원래 태성산이 있을 때 이 곳에 바위가 툭 튀어나와 있었기 때문에 이 곳을 ‘아래깨물’ 또는 ‘옹지바우터’라고 불렀다.
모래구찌
| 감만동
모래구찌는 모래가 많은 바닷가에 입 (口)을 의미하는 ‘구찌’라는 일본말이 첨가되어 만들어진 이름이다. 모래가 많은 마을 입구란 뜻이 이렇게 마을 이름으로 변한 것이다. 장계근 씨의 말에 의하면, 그의 할아버지 대에도 모래구찌라 불렀다고 하는데 왜 우리말과 일본 말이 ...
1
2
만족도조사 ㅣ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편의성에 만족하셨습니까?
5점(매우만족)
4점(만족)
3점(보통)
2점(불만)
1점(매우불만)
등록하기
담당부서 :
문화예술과 문화산업팀
담당자 :
마을이름 담당자
전화번호 :
051-607-5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