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구청
문화관광
남구의회
보건소
도서관
남구미디어
language ▼
ENGLISH
문화관광로고
남구여행
남구여행
오륙도
자연과 명소
소금공원
UN평화문화특구
갈맷길/코리아둘레길
박물관/기념관
용호별빛공원
우암동 도시숲
곱창골목
그 외 볼거리
문화예술
문화예술
남구립 소년소녀합창단
남구립 오륙도여성합창단
남구립 욜드합창단
대동골문화센터
분포문화체육센터
부산남구문화원
부산문화회관
부산예술회관
문화예술 공연장안내
우암동 소막마을주택
대동골문화센터 들락날락
바다Dream 들락날락
문현아트센터
축제 · 공연 · 전시
축제 · 공연 · 전시
행사안내
달맞이축제
유엔남구 청소년축제
반딧불이 축제
UN평화축제
평생학습박람회
평화공원 국화전시회
유엔남구 물놀이 축제
남구이야기
남구이야기
마을이름
지명
민속/전통문화
생활/역사
열린마당
여행도우미
여행도우미
유엔미오륙도남구투어
코리아둘레길 도보투어
미쉐린가이드
관광안내전화번호
관광홍보영상
관광안내도
숙박정보
먹거리정보
교통정보
남구관광테마지도
남구문화관광해설사
전자지도 바로가기
관광안내지도 신청
비짓부산
남구여행
오륙도
오륙도 소개
해조류
해안식물
해안동물
조류
바다 속 생물
오륙도스카이워크
해파랑길관광안내소
오륙도홍보관
수선화단지
자연과 명소
오륙도
이기대
신선대
대연수목전시원
오륙도 스카이워크
해파랑길관광안내소
오륙도홍보관
동명불원
소금공원
UN평화문화특구
UN기념공원
UN조각공원
평화공원
유엔평화기념관
대학로문화거리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갈맷길/코리아둘레길
갈맷길
해파랑길(이기대해안산책로)
남파랑길
박물관/기념관
부산박물관
부경대박물관
경성대박물관
경성대조류관
용호별빛공원
용호별빛공원
전시체험관 단체관람 예약
우암동 도시숲
곱창골목
그 외 볼거리
용호만유람선터미널
부산국제금융센터
황령산
황령산 전망대
부산항대교
문화예술
남구립 소년소녀합창단
남구립 오륙도여성합창단
남구립 욜드합창단
대동골문화센터
분포문화체육센터
부산남구문화원
부산문화회관
부산예술회관
문화예술 공연장안내
우암동 소막마을주택
대동골문화센터 들락날락
바다Dream 들락날락
문현아트센터
축제 · 공연 · 전시
행사안내
달맞이축제
정월대보름 소원빌기
유엔남구 청소년축제
반딧불이 축제
UN평화축제
축제포스터
축제소개
프로그램 일정표
임시주차장 안내
평생학습박람회
평화공원 국화전시회
유엔남구 물놀이 축제
남구이야기
마을이름
지명
민속/전통문화
생활/역사
열린마당
알림마당(공지)
참여마당
아이디어제안
여행도우미
유엔미오륙도남구투어
코리아둘레길 도보투어
미쉐린가이드
관광안내전화번호
관광홍보영상
유엔美 오륙도 남구투어
관광안내도
숙박정보
먹거리정보
교통정보
남구관광테마지도
남구문화관광해설사
남구문화관광해설사안내
전자지도 바로가기
관광안내지도 신청
비짓부산
남구이야기
마을이름
지명
민속/전통문화
생활/역사
열린마당
지명
남구이야기 > 지명
미꾸라지골
미꾸라지골
| 감만동
감만포로 흘러드는 소하천의 계곡을 미꾸라지골이라 불렀다.1)“지금의 소방서 앞을 소하천이 흘렀으며 전에는 이 부근에 하천과 논이 있었다”고 한다. 이 골의 모양이 미꾸라지처럼 꾸불꾸불해서 그렇게 불렀던지 그 하천에 미꾸라지가 많아서 그렇게 불렀을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감만이포(戡蠻夷浦)
| 감만동
지금의 감만동 해안포구는 조선시대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인조 13년(1635)부터 효종 3년(1652)까지 17년간이나 자리잡고 있었을 정도로 군사상 요충지였다. 감만이포로도 불리는 ‘감만포’는 임진왜란 때 왜적을 쳐부순대서 비롯된다. 1970년부터 해안이 배립되면서...
양지골
양지골
| 감만동
양지골은 지금의 홍곡산 자락에 있었던 골이다. 이 골은 ‘아무리 추운 겨울이라도 낮에 햇볕이 들면 이 온기가 지속되어 따뜻하다.’ 하여 마을 사람들이 붙인 이름이다. 이 곳은 예전에는 붉은 흙이 많았고, 오리목이 집단 분포되어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삼익아파트가 들어서...
외봉터
외봉터
| 감만동
외봉터 솔개해수욕장 위의 산에는 조선말기까지 초분 터가 있었는데 일제 때 이를 못하게 한 이후 현재는 아스팔트로 된 소방 도로가 만들어져 있다. 주민들은 감만 1동 산 229번지에 자리잡은 이 곳을 ‘외봉터’, ‘외방터’ 등의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초분1)은 해안 지...
포리포
포리포
| 감만동
포리포 옛날 홍곡산(虹谷山)1)에서 감만동을 둘러싼 능선을 타고 그 끝자락에 포구가 형성되었는데 이곳에 능선을 따라 둑을 만들어 둔 흔적이 있었다고 한다. 꼭대기에는 주춧돌과 기와와 같은 토성의 흔적이 있는 것을 보았다고 주장하는 장계근 씨는 어릴 때 자주 놀러 갔으며...
장사묘
장사묘
| 용당동
장사묘는 현재 용당 파출소 일부와 앞의 도로를 끼고 있었는데 봉분의 크기만 150평 정도 되는 어마어마한 크기였다고 한다. 봉분이 높지는 않았고 옆의 지대가 낮은 것으로 보아 옆의 흙을 파서 봉분을 만든 것 같다. 장사묘에 대한 이야기는 권영도 씨에 의한 이야기이나 이...
땅뚝과 동제(洞際)
땅뚝과 동제(洞際)
| 용당동
1970년 초까지 용당의 아랫마을 동편에 존재했던 땅뚝은 바다에서 밀려 온 자갈과 모래의 퇴적으로 이루어진 밋밋한 구릉으로, 동서로 약150m, 남북으로 200m쯤 되는 타원의 숲 지대였다. 이 곳에는 마을이 토속신인 땅뚝 할머니를 모신 당집이 있었다. 당집은 한 평 ...
무지등과 망너머고개
| 용당동
뻘끼이 고개의 남쪽으로 산맥이 흘러 3개의 봉우리가 있는데 그 끝 봉우리가 신선대이며 가운데 있는 낮은 봉우리가 ‘무지등’이다. 이름에 얽힌 유래는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고 다만 추측에 따르면 두 견해가 있다. 첫째 견해는 망너머 고개에 있는 옹달샘을 연원으로 하여 여...
뻘끼이 고개
뻘끼이 고개
| 용당동
뻘끼이 고개는 보오지산과 용마산의 두 산줄기가 갈라서는 남쪽 길목에 있는 잘록한 산허리를 말한다.뻘끼이 고개의 어원은 벌기(?期)에서 나왔다. 묵은땅을 일구어 ‘들을 넓힌다.’는 뜻으로 고개 아래쪽 구릉을 개간하면서 붙여진 지명인 듯하다.이 고개 마루에서 카 작은 소나...
소쿠리터와 돌개고개
소쿠리터와 돌개고개
| 용당동
신작로를 개설하면서 불 못지않게 용당 사람들에게 심적 부담을 준 곳이 〈소쿠리터〉였다. 〈소쿠리터〉란 초기 용당 사람들이 땅의 생김새에서 만들어 낸 명칭이다. 용당의 지형을 소쿠리처럼 생긴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바다를 향해 동서로 뻗은 두 산줄기를 소쿠리의 좌우 테로...
1
2
3
4
만족도조사 ㅣ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편의성에 만족하셨습니까?
5점(매우만족)
4점(만족)
3점(보통)
2점(불만)
1점(매우불만)
등록하기
담당부서 :
문화예술과 문화예술팀
담당자 :
지명 담당자
전화번호 :
051-607-4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