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구청
문화관광
남구의회
보건소
도서관
남구미디어
language ▼
ENGLISH
문화관광로고
남구여행
남구여행
오륙도
자연과 명소
소금공원
UN평화문화특구
갈맷길/코리아둘레길
박물관/기념관
용호별빛공원
우암동 도시숲
곱창골목
그 외 볼거리
문화예술
문화예술
남구립 소년소녀합창단
남구립 오륙도여성합창단
남구립 욜드합창단
대동골문화센터
분포문화체육센터
부산남구문화원
부산문화회관
부산예술회관
문화예술 공연장안내
우암동 소막마을주택
대동골문화센터 들락날락
바다Dream 들락날락
문현아트센터
축제 · 공연 · 전시
축제 · 공연 · 전시
행사안내
달맞이축제
유엔남구 청소년축제
반딧불이 축제
UN평화축제
평생학습박람회
평화공원 국화전시회
유엔남구 물놀이 축제
남구이야기
남구이야기
마을이름
지명
민속/전통문화
생활/역사
열린마당
여행도우미
여행도우미
유엔미오륙도남구투어
코리아둘레길 도보투어
미쉐린가이드
관광안내전화번호
관광홍보영상
관광안내도
숙박정보
먹거리정보
교통정보
남구관광테마지도
남구문화관광해설사
전자지도 바로가기
관광안내지도 신청
비짓부산
남구여행
오륙도
오륙도 소개
해조류
해안식물
해안동물
조류
바다 속 생물
오륙도스카이워크
해파랑길관광안내소
오륙도홍보관
수선화단지
자연과 명소
오륙도
이기대
신선대
대연수목전시원
오륙도 스카이워크
해파랑길관광안내소
오륙도홍보관
동명불원
소금공원
UN평화문화특구
UN기념공원
UN조각공원
평화공원
유엔평화기념관
대학로문화거리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갈맷길/코리아둘레길
갈맷길
해파랑길(이기대해안산책로)
남파랑길
박물관/기념관
부산박물관
부경대박물관
경성대박물관
경성대조류관
용호별빛공원
용호별빛공원
전시체험관 단체관람 예약
우암동 도시숲
곱창골목
그 외 볼거리
용호만유람선터미널
부산국제금융센터
황령산
황령산 전망대
부산항대교
문화예술
남구립 소년소녀합창단
남구립 오륙도여성합창단
남구립 욜드합창단
대동골문화센터
분포문화체육센터
부산남구문화원
부산문화회관
부산예술회관
문화예술 공연장안내
우암동 소막마을주택
대동골문화센터 들락날락
바다Dream 들락날락
문현아트센터
축제 · 공연 · 전시
행사안내
달맞이축제
정월대보름 소원빌기
유엔남구 청소년축제
반딧불이 축제
UN평화축제
축제포스터
축제소개
프로그램 일정표
임시주차장 안내
평생학습박람회
평화공원 국화전시회
유엔남구 물놀이 축제
남구이야기
마을이름
지명
민속/전통문화
생활/역사
열린마당
알림마당(공지)
참여마당
아이디어제안
여행도우미
유엔미오륙도남구투어
코리아둘레길 도보투어
미쉐린가이드
관광안내전화번호
관광홍보영상
유엔美 오륙도 남구투어
관광안내도
숙박정보
먹거리정보
교통정보
남구관광테마지도
남구문화관광해설사
남구문화관광해설사안내
전자지도 바로가기
관광안내지도 신청
비짓부산
남구이야기
마을이름
지명
민속/전통문화
생활/역사
열린마당
지명
남구이야기 > 지명
회까리막
회까리막
| 용당동
회까리막은 시멘트 울타리를 가리키는 말로 불의 중간 지점 동쪽 가장자리에 있는 사각형의 구조물이었다. 일제가 기세를 올리던 시절, 회까리막에는 철골 받침대에 큼직한 변압기가 장치되었으며 애자(碍子)를 매단 전선이 설치되어 주변을 지나는 사람들을 윙 하는 전기음으로 놀라...
불(모래둑)
불(모래둑)
| 용당동
<불>은 본동의 동편 인가가 끝나는 곳에서부터 동쪽의 고래 도랑이 있는 곡각점까지 바다를 안고 길게 누워 있던 모래둑의 이름이었다. 너비는 40m내지 50m였고 길이는 200m쯤 되었으며 서쪽은 높고 동쪽은 낮은 서고동저형(西高東低形)으로 고래 도랑으로 가면서 차츰 낮...
디딜밖과 디딜방아
디딜밖과 디딜방아
| 용당동
용당 본동의 초입 지점, 광산 김씨네 산소가 있었던 동뫼 주면을 〈디딜밖〉이라 했다. 지금은 동뫼가 없어져〈디딜밖〉의 의치를 정확히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지금의 용당 새마을 금고와 25번 버스 종점의 동쪽 일대라고 하면 이해하기가 쉬울 것이다. 이 일대가 언제부터 〈...
맹뭍과 신선대
| 용당동
맹뭍은 신선대 해안 일대를 가르키는 말이 다. 어원은 물 흐름이 빠른 곳에서 나왔다. 작은 풍랑에도 맹뭍 끝에서 고래 도랑까지 세찬 물살이 거침없이 밀고 들어왔다. 다다목도 맹뭍의 세찬 물살에 산자락이 깎이면서 남은 돌무더기의 퇴적이다. 맹뭍은 해방 전까지 ‘맹뭍 비알...
보오지산(봉오리산)
보오지산(봉오리산)
| 용당동
용당동에서 용호동으로 뻗어 있는 산맥을 신룡산이라 한다. 보오지산이 현재의 신룡산이라고 보면 된다. 보오지산은 용당의 주산이며 본동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산은 용당의 대문으로 인식되어 왔다. 사찰의 해돋이와 보름의 만월도 이산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이산의 아래쪽...
용당 장고개
용당 장고개
| 용당동
한국전쟁 전까지 용당 주민들이 범일동으로 다닐 때에는 장고개를 이용하였다. 현 부경대학교 용당 캠퍼스 야외 음악당 뒤쪽에 있는 용당 장고개를 넘어가면 지금의 부산외국어대학교 정문 북쪽 밭둑길을 지나 차도에 이르게 된다. 여기서 우암로를 따라 우암초등학교의 입구 부근에서...
각시당(이씨당)
각시당(이씨당)
| 용호동
장자산이 남천동을 바라보고 있는 끝자락에는 각시당(성이 곽씨인 곽씨당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이라고 불리는 조금만 당이 하나 있다. 그곳에는 지금도 촛불을 켜놓고 무엇인가를 빌고 가는 사람들이 눈에 뛴다. 용호동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 주로 타지의 사람들이 ...
섶자리
| 용호동
남구민속회원들이 현지를 탐방하여 「섶자리」의 한글 표기를 물었을때, 면담자 모두가 ‘섶’이 아니라 ‘섭’이라고 하여 <남구의 민속1> (1997, 부산남구민속회)에는 「섭자리」로 표기했었다. 그러나 앞으로는 「섭자리」가 아니라 「섶자리」로 표기해야 될 것 같다. 한글학...
백운포
| 용호동
매립되기 전 천주교 묘지 밑 극동정유 자리의 일부가 논으로 있었는데 논 둘레에 있던 차돌을 공사용으로 다 파가서 파도를 받는 힘이 없어 논이 점차 없어졌다. 그 근처는 바람받이가 되어 곡식농사는 잘 되지 않았다.옛날에는 용호동의 웃마실로 불리는 4패의 동쪽 해안 절경지...
평정산
평정산
| 대연동
부산문화회관 뒤산의 남구 예비군훈련장이 있는 산 정상 일대를 평정산이라 하였다. 마을의 어르신들은 ‘평정먼디’라고도 부르는데 이 산의 꼭대기에는 6·25 전쟁 당시 전사한 수많은 북한군 시체들을 묻어둔 공동묘지였다고 한다. 전쟁이 끝난 후 포로 교환 협정에 따라 이곳에...
1
2
3
4
만족도조사 ㅣ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편의성에 만족하셨습니까?
5점(매우만족)
4점(만족)
3점(보통)
2점(불만)
1점(매우불만)
등록하기
담당부서 :
문화예술과 문화예술팀
담당자 :
지명 담당자
전화번호 :
051-607-4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