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구청
문화관광
남구의회
보건소
도서관
남구미디어
language ▼
ENGLISH
CHINESE
JAPANESE
문화관광로고
남구여행
남구여행
오륙도
자연과 명소
UN평화문화특구
갈맷길/해파랑길
박물관/기념관
그 외 볼거리
문화예술
문화예술
부산문화회관
부산예술회관
부산남구문화원
대동골문화센터
문화예술 공연장안내
남구소년소녀합창단
오륙도 여성합창단
분포문화체육센터
축제 · 공연 · 전시
축제 · 공연 · 전시
행사안내
달맞이축제
UN평화축제
평화공원 국화전시회
평생학습박람회
반딧불이 축제
남구이야기
남구이야기
마을이름
지명
민속/전통문화
생활/역사
열린마당
여행도우미
여행도우미
관광안내도
숙박정보
먹거리정보
교통정보
관광안내전화번호
남구문화관광해설사
관광홍보영상
남구관광테마지도
비짓부산
남구여행
오륙도
오륙도 소개
해조류
해안식물
해안동물
조류
바다 속 생물
오륙도스카이워크
해파랑길관광안내소
오륙도홍보관
자연과 명소
이기대
신선대
대연수목전시원
동명불원
UN평화문화특구
UN기념공원
UN조각공원
평화공원
유엔평화기념관
대학로문화거리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갈맷길/해파랑길
갈맷길
해파랑길(이기대해안산책로)
박물관/기념관
부산박물관
부경대박물관
경성대박물관
경성대조류관
그 외 볼거리
곱창골목
용호만유람선터미널
부산국제금융센터
황령산
황령산 전망대
부산항대교
용호별빛공원
우암동 도시숲
문화예술
부산문화회관
부산예술회관
부산남구문화원
대동골문화센터
문화예술 공연장안내
남구소년소녀합창단
오륙도 여성합창단
분포문화체육센터
축제 · 공연 · 전시
행사안내
달맞이축제
정월대보름 소원빌기
UN평화축제
평화공원 국화전시회
평생학습박람회
반딧불이 축제
남구이야기
마을이름
지명
민속/전통문화
생활/역사
열린마당
알림마당(공지)
참여마당
아이디어제안
여행도우미
관광안내도
숙박정보
먹거리정보
교통정보
관광안내전화번호
남구문화관광해설사
관광홍보영상
유엔美 오륙도 남구투어
남구관광테마지도
비짓부산
남구이야기
마을이름
지명
민속/전통문화
생활/역사
열린마당
생활/역사
남구이야기 > 생활/역사
분개염전
| 용호동
분개(盆蓋) 또는 분포(盆浦)는 오늘날 남구 용호동의 옛 지명이었다.지금은 분포라는 이름만 전할 뿐 염전과 세 군데의 제염 공장에서 해방 후상당기간 소금을 생산해온 분개 염전은 오늘날 제철회사, 하수처리장, 주택가등으로 개발되었으며 앞으로 어떤 식의 변화를 거칠지 아무...
부산을 사랑한 위트컴 장군
| 기타
부산을 사랑한 위트컴 장군 부산역 앞 대화재 복구 등 전후 재건사업 주도 메리놀병원 부산대학교 신축 지원에 적극 나서 ...
UN기념공원
| 기타
UN기념공원(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유엔기념공원은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720번지에 위치한 세계에서 하나밖에 없는 묘지이다. 1951년 유엔군 사령부에 의하여 창설되어 1955년 유엔총회가 “국제연합기념묘지”로서 지...
용호 해녀들의 정착과정과 활동 노래
| 기타
용호 해녀들의 정착과정과 활동, 노래섬 바깥으로 물질 나가는 일을 제주 해녀들은 ‘배꼇물질 나간다’ 또는 ‘물질 나간다’ 고 이른다. ‘배꼇물질’이란 ‘바깥물질’을 뜻한다. 물질 나가는 곳이 한반도인 경우라면 ‘육지물질’이라는 말을 흔히 쓴다.제주인들은 바다 건너 한반...
상어,숭어,장어잡이
상어,숭어,장어잡이
| 기타
상어·숭어 ·장어잡이 가. 상어잡이 부산시 수산업 협동조합의 전무인 김장우 씨는 용당의 상어잡이가 최초의 전진기지였다고 한다.1930년 대말 용당 바다에 발동선이 등장했다. 이는 일본인 나까시마에 의한 것이었다. 용당인으로는 최장수 씨가 발동선을 소유했고 이어 일본인 ...
남구어촌계변천사
| 기타
남구는 바다를 접하고 있는 지리적 여건 때문에 포구를 중심으로 어업생활을 하여 왔다. 그런데 바다가 점차 매립되어 부두와 공장들이 들어서면서 이제는 수려하였던 바닷가 해안의 정취는 이미 사라져버렸고 용호동을 제외한 대부분의 해안은 매립하여 현대화된 컨테이너 부두가 되어...
곱창골목
| 문현동
곱창골목문현4동에는 일제시대에 형성된 재래시장과 가축 시장이 있었다. 이러한 지리적 조건으로 시장에 장보러 온 사람들을 주 고객으로 하는 음식점들이 생겨났다. 어려운 시절이다 보니 인근 도살장에서 나오는 고기 및 부산물을 재료로 하는 음식은 대단히 인기가 있었다. 그 ...
우암동 내호냉면
| 우암동
우암동 옛 뱃머리에서 문현4동으로 가는 고개를 우암 장고개라고 하는데 이 장고개를 끼고 시장도 형성되어 있어 많은 가게들이 있어서 밤이면 불야성을 이룬다. 이 곳 시장 입구에 가장 오래되고 아주 유명한 냉면집이 있는데 이는 50년 전통을 가진 내호냉면집이다.(각종 신문...
표민 수수소
표민 수수소
| 우암동
표민 수수소(漂民授受所)용두산 주위에 ‘초량 왜관’1)이 있을 때 오늘날의 우암동에는 바다에서 표류하던 외국 사람들을 서로 인수인계하던 ‘표민수수소’가 있었다.‘표민’이란 일본인이 일본 본토 또는 대마도 가까이 바다에서 항해를 하거나 고기를 잡다가 표류하여 조선 근해에...
소막
소막
| 우암동
소막 소막은 일제시대 청진과 부산 두 곳에 있었다고 한다. 일제 때에 우리나라의 소들을 모아 군용으로 만주나 일본에 보내기 위해 검사를 거쳐야 되는데 소막은 전국에서 모아진 소들을 일주일에서 열흘 정도 임시로 보관ㆍ관리하는 곳이다. 소막에서는 전국의 볏단을 모아 소들을...
1
2
3
4
만족도조사 ㅣ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편의성에 만족하셨습니까?
5점(매우만족)
4점(만족)
3점(보통)
2점(불만)
1점(매우불만)
등록하기
담당부서 :
문화미디어과 문화예술팀
담당자 :
최의채
전화번호 :
051-607-4063